24SS
about
campaign
project
collaboration
prints
SHOP
A TABLE WITH

HYUNGKOO LEE

LIST

몸은 나의 영원한 탐구 대상

몸을 이해한다는 건 내 체형과 움직임, 건강 상태 등을 파악하는 일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니체는 몸을 ‘하나의 거대한 이성이며, 하나의 의미로 꿰어진 다양성’이라 말했고, 허준은 <동의보감>에서 몸을 ‘소우주’로 바라보았다. 인간이 걷거나 춤추며 자유롭게 움직이고 싶어 하고, 근육을 단련하거나 살을 빼며 원하는 형태로 몸을 바꾸려 노력하거나, 옷과 액세서리 등을 덧입어 외면을 꾸미는 것도 몸을 통해 내 존재에 의미를 부여하는 방법일 것이다. 이형구 작가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몸을 깊이 탐구한다. 이미 20여 년 전에 시작된 그의 연구기는 여러 주제로 가지를 뻗어 나갔고, 그 속에 내포된 이야기는 더 무궁무진하다.

그는 신체 일부분을 확대 및 왜곡해서 보여주는 ‘오브젝츄얼스The Objectuals’와 우리에게 친근한 애니메이션 동물 캐릭터들의 뼈대를 해부학적으로 연구한 ‘아니마투스ANIMATUS’, 몸에서도 눈에 집중해 물고기나 사슴, 곤충 등의 시선으로 세상을 볼 수 있게 하는 조율 장치를 만든 ‘아이 트레이스Eye Trace’, 신체 내부의 해부학적 구조에서 우주의 형상을 발견하는 ‘케미컬Chemical’ 시리즈 등을 통해 재료나 도구, 매체의 구분 없이 다층다각적으로 몸을 이해해 나가고 있다. 이형구 작가의 상상력이 더해져 조각적으로 재탄생한 몸과 몸의 세상은 때로 허황하고 기괴해 보이기도 하지만, 그의 작품을 마주했을 때 지금 탑승하고 있는 몸이 낯설게 느껴지고 궁금해지는 신기한 감정을 느꼈다.

모든 작품의 밑바탕에는 작가가 자기 존재를 이해하고 잘 살아가고 싶은 마음이 담겨 있기 때문일 거다. 그 뜻이 우리에게 전해져 눈에 보이지 않는 화학적 성장기를 겪게 한다. 앞으로도 이형구 작가의 몸에 대한 상상은 현실이 되고, 그의 탐험은 무한한 지도로 그려질 것이다.

ARTIST HYUNGKOO LEE WRITER GEUNYOUNG PARK EDITOR DANBEE BAE PHOTOGRAPHER CJIN KIM
THIS PROJECT <PRINTS> WORKED WITH RAWPRESS
TABLE #2
몸의 의미, 몸을 감싸는 옷의 의미
이형구 작가에게 몸은 재현의 대상이, 소재이고 매체이다. 몸은 작가가 끝없이 탐색하고 추적할 수 있는, 마르지 않는 영감의 원천인 셈. 커스텀멜로우와의 협업도 단순히 그의 작품이 담긴 옷이 제작되는 일에 그치지 않을 거 같다. ‘몸을 가리거나 보호하기 위해 직물 등으로 만든 물건’이라는 근원적 의미를 지닌 옷이 작가가 몸에 관한 이해를 확장할 수 있는 새로운 매체가 될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작가는 카메라 앞에서도 베테랑이었다. 거리낌 없이 자신을 드러내는 자세, 렌즈를 똑바로 마주하는 시선, 번쩍이는 플래시에 맞서는 당당한 발걸음. 그도 그럴 것이 작가는 그간 몸에 대한 이론적 탐구뿐만 아니라 몸을 직접 움직임이며 새로운 감각을 체득하는 연구도 이어왔다. ‘메져MESURE’ 시리즈에서는 마장마술을 재현하기 위한 장치를 입고 우아하게 움직이는 말이자 말을 이끄는 기수가 되어 달렸고, 오브젝추얼스에서는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같은 작은 거울 두 개를 얼굴 양쪽에 달고 걷고 달리는 연습을 한 과정을 보여주기도 했다. 그의 모습에서 몸을 오래 연구하고 사용하며 잘 이해하게 된 사람의 자신감을 느꼈다.
작가의 작업을 완성하는 데 쓰이는 주요 도구를 소개해주세요.
시리즈마다 작업 매체뿐만 아니라 재료와 작업 방식이 많이 달라지다 보니 사용하는 도구도 정말 다양해요. 그렇지만 무얼 하든지 연필은 꼭 필요하고요, 의외로 여기저기 잘 쓰이는 도구로는 커스텀 나이프가 있어요. 조소 전송하는 사람들은 잘 알 거예요. 돈가스 썰 때 주로 사용하는 칼을 필요에 맞게 성형해서 쓰죠. 시중에서 구입할 수 없는 조각도인 셈이에요. 최근 ‘케미컬’ 시리즈 작업을 위해 새로 사용해본 도구로는 알루미늄 망을 자르고 붙이기 위해 함석가위와 글루건 그리고 페이퍼 마쉐papier-mâché, 젖은 종이와 아교나 풀을 섞어 이겨 놓은 종이반죽로 작업을 할 때 종이를 물에 개기 위한 고무대야가 있어요.
커스텀멜로우와의 협업 제품에 주제가 된 ‘아카이브Archive’ ‘아니마투스ANIMATUS’ ‘케미컬Chemical’ 시리즈에 대해 조금 더 들어볼게요. 아는 만큼 옷 입었을 때의 느낌도 다를 테니까요! 먼저 아카이브는 그간의 작업 생활에서 탐구하고 영감을 받아온 인체 모형, 오브제, 서적 등을 아카이빙한 작품이죠?
작년 부산시립미술관 전시에서 시도해본 방법이에요. 거대한 전시대 위에 책과 자료, 작업의 밑그림, 재료를 실험한 샘플, 인체 모형 등 그동안의 작업 과정에서 필요했던 여러 오브제와 잘 공개하지 않았던 초기 작품을 모아 종과 횡으로 나열해보았죠. 처음에는 작품 시리즈별 아카이브 섹션을 만들어 보여주려고 했는데, 제 작업의 결과물은 특정 주제로 명확히 나뉘지만 작업이 탄생하기까지의 과정은 그렇게 선을 그어 나뉘지 않더라고요. 아무래도 그간 지나온 시간은 모두 연결되어 있으니까요. 그래서 그냥 모든 사물을 전시장 중앙에 한데 모아 생각의 흐름처럼 넓게 펼쳐 늘어놓았고, ‘이형구'라는 작가에 대해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했어요.
아니마투스는 작가의 작품을 조금 더 대중적으로 알려준 작업이 아닐까 합니다. 요즘 말로 표현하자면 작가에게 ‘입덕’하게 되는 계기인 거죠. 해부학적 연구와 예술적 상상력을 더해 애니메이션 캐릭터들의 가상적 신체 구조와 형태를 탐구하고 표현하는데, 어찌나 생생한지 뼈만 남은 캐릭터들이 살아 움직일 것만 같아요.
볼록렌즈가 달려 쓰면 눈이 커 보이는 헬멧, 손을 넣으면 세 개의 손가락이 거대해 보이는 유리관 장치 등 인체의 형태를 왜곡하는 ‘오브젝츄얼스The Objectuals’리 시리즈를 진행할 때, 실제로 그렇게 생긴 사람이 있다면 그 골격과 구조는 어떻게 생겼을지 궁금해졌어요. 그 모습이 동물이지만 사람처럼 걷고 뛰고 말하고 싸우는 애니메이션 캐릭터들과도 비슷하다는 생각이 들었고요. 그래서 애니메이션 캐릭터들의 뼈대 구조를 자연사 박물관에 있는 공룡 화석처럼 표현해보게 된 거예요. 그때부터 사람과 동물의 몸에 대한 해부학적 지식을 깊이 공부하기 시작했어요. 고양이가 사람처럼 직립 보행하려면 척추 라인의 형태도 바뀌어야 하고, 뼈마디 하나하나를 가동할 수 있는 형태로 수정해야 하는데, 그건 어디서 배울 수 있는 게 아니니까 직접 자료를 모으며 연구해야 했죠. 캐릭터들은 실제 동물보다 손가락 발가락 개수가 적어서 제 상상력을 동원해 변형해야 하는 부분도 많았어요. 그렇게 실제의 동물 뼈를 토대로 모형을 제작하고 변형하는 과정을 수없이 거쳐서 아니마투스가 탄생했어요.
마지막 ‘케미컬’은 인체 내부의 화학적 작용을 천체지도처럼 표현합니다. 지금 작업실에 일부 설치가 되어 있기도 하네요. 어떻게 우리 몸속에서 우주의 풍경을 보게 되었나요?
인체는 미시적으로 들여다보면 화학적으로 보이고 거시적으로 보면 천문학적으로 보여요. 케미컬 시리즈에서는 그동안 주목해왔던 몸의 기관과 움직임을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듯 원하는 배율로 변환해 바라봐요. 그리고 구상과 추상의 경계를 넘나드는 조각과 설치의 방식을 사용한 결과 소우주 같은 풍경이 완성되었고요. 실제 공간에서 관객들은 거리에 따라 각자의 배율로 작품들을 경험할 수 있죠. 작업 과정에서 어릴 때 좋아하던 <Fantastic Voyage>(1966)라는 영화의 장면이 자주 떠올랐어요. 사람의 뇌를 치료하기 위해 광선을 쬐고 아주 작아진 잠수함을 탄 탐험대를 몸속으로 주입하는 SF영화인데, 몸이 작아진 탐험대는 몸 안에서 일어나는 일상적인 자율신경계의 활동들이 마치 천재지변처럼 겪게 되죠.  영화의 이런 장면들이 굉장히 인상적으로 기억에 남아서 지금의 작업에 영향을 준 거 같아요.
자기 작품이 패션적 시선으로 해석되는 일은 생소하고도 색다른 경험이었을 거 같아요. 커스텀멜로우와의 협업 과정은 어땠나요?
많은 사람이 모여 제 작업을 살펴보며 어떻게 디자인할지 고민하는 모습을 지켜보는 것도 즐거웠고, 제가 생각하지 못한 방식으로 옷과 모자, 가방, 액세서리 같은 결과물이 탄생한 것도 흥미로웠습니다. 실제로 누군가의 몸에 입혀져 움직임을 가지는 모습을 보니 더 근사해서 감회가 새로웠고요. 완성된 제품들을 소비자에게 매력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사진과 영상으로 촬영하는 일도 저에게는 제삼자의 시선으로 제 작품을 바라볼 기회였어요.
완성된 제품 중 가장 마음에 드는 에디션은 무엇인가요?
펜꽂이와 주머니 등 수납공간이 많은 작업복 혹은 실험복 느낌의 워크 재킷이요. 매 시리즈가 실험의 연속이고, 다양한 도구를 한 번에 사용해야 하는 제 작업 성향이 잘 반영된 거 같아요. 그리고 다른 제품들도 이미지가 그냥 프린트되는 게 아니라, 다른 소재의 천으로 패치워크 하거나 다른 색의 실로 자수를 새겨 넣고, 라인 디테일을 살리는 등 다양한 시도로 완성되어서 인상적이었어요. 저 역시 가지각색의 재료를 활용해보는 과정을 거치기에 정말 제 작업의 일부를 보는 듯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이제 작가의 작품은 옷을 통해 사람들과 어디든 함께 갈 수 있게 되었네요. 이 옷을 입을 사람들에게 전하고 싶은말이 있다면요?
얼마 전 제 작업실에서 모델들의 화보 촬영 모습을 보는데, 아카이브 티셔츠를 입은 모델이 실제 작업 사이에 서 있으니 옷이 마치 제 작업의 연장선처럼여겨졌어요. 그만큼 제 작업을 잘 이해하고 반영해 완성된 옷이니, 이 옷을 입고 생활할 사람들도 제 작품을 감상하고 소유하는 또 하나의 방식으로여겨주면 좋겠어요.